본문 바로가기
발빠른 금융정보

청년희망적금에서 갈아타기 한다는 '청년도약계좌'란?

by 박수길 2022. 3. 14.

안녕하세요~

박쎔의 금융연구소입니다.

 

지난 번 소개해드렸던 청년희망적금 기억하시나요?

총 급여가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의

만19세 이상부터 만34세 이하의 청년들만 가입할 수 있는 적금으로

비과세 헤택과 저축장려금을 정부의 예산으로 지원되어 가입 가능한 청년이

일시적으로 몰리는 등 많은 관심을 모았던 제도입니다.

 

그러나 최근 윤석렬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중 최대 5754만원을 추가로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지원이 안되기 때문에 이미 가입한 청년들의 경우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를 해야 하나를 고심해야 할 정도로

대폭 늘어난 혜택을 자랑하는데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특징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납입 기간 10년간 최대 5754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청년이 가입 후 납입하는 금액과 정부가 지원해주는 금액을 합쳐서

매달 최대 70만원씩 저축할 수 있으며 금리는 3.5%에 해당하여 납입 기간 10년 이후에는

최대 1억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납입자가 매달 30만원을 저축하면 여기에 정부가 약 20만원을 더해

매달 70만원까지 저축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연소득 2400만원 이하인 경우 해당하며 그 이상의 연소득이더라도 가입할 수 있지만

정부 지원 금액에서 차등 지원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즉, 청년 연소득이 적지만 납입액이 많으면 많을 수록 정부지원이 많아지는 것이죠.

 

연소득 2400만원 이하 소득자 10년 후 최대 5,754만원 수령
연소득 2400만원 ~ 3600만원 이하 소득자 10년 후 최대 2,877만원 수령
연소득 3600만원 ~ 4800만원 이하 소득자 10년 후 최대 1,439만원 수령

 

이처럼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수령 가능 금액 비교가 확실히 된다는 점에

많은 분들이 갈아타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간 유지해도 최대 45만6000원인것이 비해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10년동안 5,754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의 차이가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연소득이 4800만원이 되어도 가입할 수 있다는 것이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했을 때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청년도약계좌도 근로자가 아니면 가입할 수 없고

만9세부터 만34세 미만까지만 가입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형평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사실상 취업이 어려운 청년의 경우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능해 더욱 고립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연소득 격차 간 적금 가능한 금액 한도 설정에 대한 문제도 불거지는 등

관련한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숙제가 있습니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에 260만명이 가입되어 있는 상황이라

갈아타기를 희망하는 대상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정부에서도

갈아타기를 허용할 방침이라고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