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쌤의 금융연구소입니다.
요즘 세금 문제 민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특히 세금은 그야말로 제대로, 잘 알고 있어야 세금을 줄일 수 있기때문에
세테크란 말도 생겨났죠!
오늘은 신규아파트 분양이나 이사 때문에 일시적 1가구 2주택이 된 경우
양도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절세 혜택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조건, 양도세 신고
보통은 1세대 1주택의 경우에만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사와 분양때문에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되는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조건은?
일시적 1가구 2주택일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바로 종전 주택의 처분 기간에 달려 있습니다.
즉, 새집 취득액 기준으로 3년 이내에 종전 주택을 매매해야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즉 집을 취득 한 이후 최소 1년 이 지난 이후에 두 번째 집을 취득해야 하며
기존의 집은 2년 이상 보유해야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3조건을 다 갖춘다 해도 주택 지역에 따라
비과세 혜택 여부는 달라지는데요,
바로 종전 주택과 신규 주택이 조정대상 지역에 있는 경우
비과세 조건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대책 기준일에 따라 매도일이 다르다!
말씀드린데로 부동산 대책 기준일에 따라 매도일이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부동산 대책은 2018년의 9.13대책과 지난해의 12.16 대책으로 나뉘어집니다.
만약 2018년의 9.13대책 이후 신규 주택을 매수한 경우라면
취득일로부터 2년 이내에 종전 주택을 매도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19년의 12.16의 부동산 대책 이후 신규주택을 매수한 경우라면
취득일로부터 1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매도해야만
비과세 혜택 대상자가 된다는 것!
부동산 대책 이전 계약자는 억울하다! ㅠㅜ
부동산 대책 이전에 이미 계약을 한 경우라면
한끗 차이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매도일 기준이 달라져
다소 억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억울한 상황을 지양하기 위해서 계약금만 지급한 경우라면
종전 규정을 적용해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조건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달라진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기란 점차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한끗차이로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조건이 달라지므로
상황에 따라 혜택 대상이 되는지 꼼꼼하게
알아두셔야 할 것입니다.
이상 박쌤의 금융연구소였습니다.
더 좋은 알찬 정보로 찾아 뵐께요~
'발빠른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가 하락! 해외선물, 크루드오일 공부가 필요한 이유! (0) | 2020.05.07 |
---|---|
5월 종합소득세신고 기간 연장! 그외 체크해야 할 사항은? (0) | 2020.05.06 |
코로나로 보험료 내기 힘들때! 보험료 감액 완납, 납입 유예 제도 활용하세요! (0) | 2020.04.20 |
달라지는 2020년 주택연금 가입연령 및 수령액 알아보기! (0) | 2020.04.17 |
올해까지만 가입가능한 비과세종합저축 상품 가입하셨나요?!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