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빠른 금융정보

아파트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받는 날 바로 신고해야 하는 이유!

by 박수길 2021. 3. 26.

안녕하세요

박쌤의 금융연구소입니다.

 

지난해와 올해, 정부의 부동산 대책의 주 목적은

다주택자에 세금을 더 많이 부과하여 주택시장에 매물을 늘리고

시장을 안정화 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과도한 정책으로 인해 정부가 일찍감치 예상했던 방향과는 달리

주택 시장은 흘러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양도소득세는 물론 보유세 기준을 대폭 강화하여

다주택자들의 세금에 대한 부담은 가중화되고 있는데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정부의 노력과는 반대로,

오히려 다주택자들은 매물을 내놓는 것보다는 증여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증여세란 무상으로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취득하게 되었을 때

재산 가액 기준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주택은 물론 주식, 부동산 등을 무상으로 이전됬을 때를 말합니다.

 

현재 괏표즌으로는 5억 초과 10억 이하인 경우

약 30%의 증여세율이 적용되고 누진공제액은 6천만원에 해당됩니다.

 

 

아파트값은 앞으로 더 오른다!!

 

즉, 남에게 팔면서 과도한 양도소득세를 내느니

가족에게 증여를 하고 증여세를 내겠다는 것인데요~

양도소득세는 최대 45%, 그러나 증여세는 기준에 따라 10%에서 최대 50%까지납부해야 하지만 많은 다주택자들은 앞으로 아파트값은떨어지지 않고 앞으로 더 오른다는 생각에 양도보다는 증여를 선택하고 있다는 평입니다.

 

물론 아파트 증여는 증여 받은 이후5년 간 거주를 해야만 다시 팔 수 있음에도 많은 분들이 증여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쭉 오를 아파트값보다는 이러한내집마련 대란을 자녀들이 다신 겪지 않았으면 하는마음이 더해지지 않았을까 싶은데요,결론은 정부의 방향과는 달리 증여쪽으로 기우는 다주택자들의 방향에 따라주택 시장 안정화의 갈 길은 더욱 멀어보입니다.

 

 

만약 양도가 아닌 증여를 선택했다면

아파트 증여세, 어떻게 절세를 할 수 있을까요?

 

아파트 증여세는 감정평가사가 책정한 아파트 가치를 기준으로 인정받습니다.따라서 아파트 증여세 부과에 있어감정평가액이 매우 중요한데요~실제로 공시시가 보다는 감정평가액이 상대적으로 좀 더 낮게 책정되기 때문에아파트 증여세를 내야 하는 경우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아파트 증여세 납부를 해야하는 경우신고기한도 미리 체크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요,

증여세는 증여일에 속하는 당월의 말일으로부터

3개월안에 반드시 신고를 해야합니다.

 

그러나 증여세는 신고일을 기준으로 3개월 동안은

아파트 가격이 오르더라도

증여세 기준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요즘처럼 가파르게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라면

아파트 증여세 신고기한을 최대한 빠르게 하는 것이 도움되겠습니다.

 

아파트 가격이 여전히 불안한 상황에서

다주택자 입장에서는 양도든 아파트 증여세 든 눈치싸움만 하게 되는상황인것 같습니다.

 

시기를 정말 잘 맞춰야 하는 것이 부동산 시장!

매매는 물론 아파트 증여세 신고기한도 현명하게 판단하실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