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쌤의 금융연구소입니다.
지난 28일 1인당 3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구직촉진수당 제도의
수급대상자들의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름도 어려워 내가 수급자격이 되는지 아닌지,
알쏭달쏭해서 막상 신청하지 못하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오늘은 대략적인 수급자격 기준과
모의 수급자격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신청하는 방법까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여파로 인해 고용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구직자나 경력 단절 여성들 또는 취업준비 청년, 그외 폐업으로 인해
취업을 알아보고 있는 계신 영세 자영업자 또는 특수고욕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인당 50만원씩 총 6개월동안 300만원의 지원금이 제공해주는 지원입니다.
12월 28일부터 신청을 받고 내년 1월부터 수급자격자에 한해
지원이 시작됩니다.
수급자격, 어떻게 확인하나?
구직촉진수당은 국민취업지원제도 사이트에서 직접 신청 및 수급자격 확인을
모의로 해보실 수 있는데요,
먼저 워크넷을 가입하여 구직신청을 완료하신 후
구직촉진수당 신청하기를 본격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구직촉진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수급자격을 갖추어야 하는데요
큰 범위에서 말하면 소득과 재산 요건 그리고 취업에 대한 의지 등이 있습니다.
먼저 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 기준은 15세~64세 내에 해당되면서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50% 이내
즉 1인 91만원, 2인기준 154만원, 3인기준 199만원, 4인 기준 244만원 이하여야 하며
재산은 3억원 이하로 보유하고 계셔야 합니다.
또한 최근 2년 내에 약 100일 이상의 취업 경험이 있으셔야 구직촉진수당을 신청하실 수가 있습니다.
말씀드린데로, 내가 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이 되는지 안되는지를
국민취업지원제도 사이트에서 모의로 수급자격 확인을 하실 수 있으니
직접 해보시면 도움되실것 같습니다.
* 국민취업지원제도 모의 수급자격 확인하기!*
www.work.go.kr/kua/selfDiagn/kuaMySupdeCertSimulView.do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인께서 입력하신 자료를 기초로 산정한 결과 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신청인께서 수급제외대상 및 재참여 제한기간 에 해당하는 경우 참여하실 수 없으니 내용을 꼭 확인 후 참여
www.work.go.kr
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이라면?
구직촉진수당 신청을 통해 수급자격이 확인되셨다면 1월부터 바로 수급이 진행되는데요,
수급이 6개월동안 진행되면서 고용센터에서 제공하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에
성실하게 참여하여야 합니다.
만약 이를 성실하게 참여하지 않으면 중간에 구직촉진수당 지급이
끊길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수당을 받고 있다가 취업 또는 창업을 하게 되면
구직촉진수당을 중단되지만 1인당 150만원씩(취업 후 6개월 50만원, 1년 이후 100만원 지급)
취업 성공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으므로 이 점도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중위소득 50% 이상이라면?
중위소득이 50% 이상이여서 구직촉진수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2 유형에 지원 가능하여 취업지원서비스 및
구직활동 비용 일부를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청년들의 경우 구직촉진수당 기준보다 완화된 기준에서
자격심사가 이루어지므로 구직청년들은 반드시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1인당 300만원 받는 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 확인과 신청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격이 되시는 분들의 경우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신청하기 전 워크넷에 가입하여 <구직신청>과정을 반드시 하셔야 한다는 것도
잊지마시구요~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 박쌤의 금융연구소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발빠른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흩어진 카드 포인트 조회하고 계좌이체 활용하기!-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서비스 (0) | 2021.01.06 |
---|---|
3기 신도시 청약일정알리미 설정하는 방법 (0) | 2021.01.04 |
2020 연말정산,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과 기준 살펴보기! (0) | 2020.12.28 |
국내주식 세금 종류 총정리! 2021 재테크 미리 준비해요! (1) | 2020.12.11 |
부동산 매매 시 자금조달계획서 추가 증빙요구 받지 않으려면? (0) | 2020.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