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박쌤의 금융연구소입니다.
비가 오는 화요일~
어제 오늘 세차게 내린 비 때문에 세상이 조금은 깨끗하게 된 씻겨진 기분입니다.
맑고 깨끗한 기분으로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금값시세가 심상치 않다! 금테크 어떻게 해야할까?
오늘은 금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금값시세가 그야말로 심상치 않는데요,
한국거래소 금값은 어제 마감기준으로 1g 당 69,840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014년도에 이후 가장 비싼 가격을 기록한것으로 나타난만큼
금값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금은 주식과는 반대로 안전자산 품목 중 하나입니다.
물론 안전자산 중에는 달러도 포함됩니다.
달러 역시 올해 초와 비교했을 때 1달러 당 70원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즘처럼 코로나로 인해 경제 불황을 겪고 있는 상황의 영향을 받아
오히려 안전자산 품목으로의 집중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느낌인데요
이런 이유로 금값 상승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 초 1월달만 해도 5만 6천원대의 금값이 요즘 약 7만원 대까지 올랐습니다.
이처럼 안전자산으로 알려진 달러와 금값은 지속 상승중에 있지만
미국과 관련된 자산이므로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 동향에
꾸준하게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할 것 입니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금값시세 상승세는 이어질까?
이미 말씀드린데로 금과 달러는 미국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에 큰 변동이 없는 한 이러한 안전자산은
지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세를 타고 무작정 투자는 금물!
안전자산은 증시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무리한 금값 투자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금값시세가 상승하여 이득이 발생했을 경우
10% 부가가치세와 15.4%의 소득세를 부담해야 하므로
매매 시일에 관산 결정 역시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안전자산에 속하지만 금 매매의 경우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기때문에 투자 시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것도 주의해야겠죠!
오늘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금값시세에 관한 이야기와
금테크 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경게가 불안할때 누구나 안전자산 보유에 관한 바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성급한 투자보다는 많은 공부와 관심이 필요한 것이
바로 재테크라고 생각됩니다.
앞으로도 도 알찬 금융 정보로 찾아뵐께요!
비오는 화요일, 더욱 활기차게 보내시길 바랄께요!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박쌤의 금융연구소였습니다!